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여, 무대응으로 일관하다 형사고소 또는 손해배상소송까지 당하거나, 저작권자가 요구하는대로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까지의 합의금을 지불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내용증명을 받았다=저작권을 침해했다’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내용증명을 받은 경우 저작권에서도 특히 소프트웨어 저작권 전문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고, 기업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는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저작권자는 내용증명을 통해 1)소프트웨어 사용 중지, 2)소프트웨어 무단 사용에 대한 대가(합의금)를 요구합니다. 만약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형사고소 등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며 엄포를 놓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대부분의 저작권자가 요구하는 합의금은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산정되어 터무니없이 높은 금액을 요구하기 때문이죠.
합의금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면 SW저작권 전문 변호사의 판단을 통해 저작권자가 요구한 합의금이 적절한지를 확인하고, 관련 법리와 판례를 들어 우리가 산정한 합의금의 타당성을 설명하여 형사고소나 손해배상 등으로 사건이 이어지지 않도록 전략을 구상해야 할 것입니다.
SW저작권 침해로 내용증명을 받은 기업들 중 무대응으로 일관하거나, 합의금의 적절성 등을 판단하지 않은 채 ‘될대로 돼라’는 식으로 넘어가다 결국 법적 분쟁에 휘말려 에이앤랩에 도움의 손길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가장 위험한 대응방법입니다.
저작권자가 요구하는 합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행불가에 대한 타당한 법리적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저작권침해가 성립하지 않는다거나 합의금이 불공평하게 산정되었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입니다.
만약 이러한 법적 사유 없이 저작권자의 요구를 무시한다면 형사처벌은 물론 손해배상의 위험까지 감내해야 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SW저작권 침해 사건에서 변호인 선임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호인 없이 SW저작권 침해 이슈를 대응하다 1)저작권 침해가 아님에도 관련 법리를 알지 못해 형사처벌을 감내하는 경우, 2)저작권자가 요구하는대로 엄청난 합의금을 물어주는 경우, 3) 형사처벌로 끝난 줄 알았지만 이후 수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까지 당하는 경우 등의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많습니다.
법무법인 에이앤랩의 SW저작권침해 대응센터는 대한변협 등록 지식재산권 전문 변호사를 필두로 합의 대행 전문 변호사, SW 저작권 침해 분석 전문 변호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SW저작권침해 초기 대응부터 검사출신 변호사와의 협업으로 형사고소 대응, 손해배상청구 소송 대응까지 전 과정에서 전문 변호사의 투입을 통해 대응전략을 마련해 드리고 있습니다.